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18

[정자역 맛집] 바삭돈카츠 - 돈카츠 전문점

#정자역맛집 #바삭돈카츠 ​ ​ ​ 별점 ★★★★☆ ​ ​ 이틀에 한 번 꼴로 돈가스를 먹는다는 매니아에게 한껏 전도당하는 중인 요즘 오늘도 같이 집 주변의 돈가스 맛집 탐방을 나섰다 ​ ​ 배달로 자주 시켜먹었다는 정자역 바삭돈카츠를 방문 ​ ​ ​ 11:00~21:00 포장, 배달 가능 브레이크 타임 X ​ ​ ​ 매장 내부 벽 한편에 바삭돈카츠에 대한 소개가 정리되어있다 프리미어 돈가스 라인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붉은 고기에 대한 오해부터 히말라야 핑크솔트까지 ​ +) 유학 준비중인 친구 말로는 왼쪽 아래에 적힌 일본어가 "돈카츠"라고 한다 ​ ​ 아래는 메뉴판 사진 ​ 메뉴판을 보자마자 둘다 안심(4pcs)+치즈(2pcs) 를 골랐는데 안심 치즈 단품 하나씩 시켜서 반씩 나눠먹는 게 조금 더 싸..

섭교수 리스트 2021.11.20

[선형대수학] 크래머 공식 (Cramer's Rule)

#선형대수학 ​ 크래머 공식은 Ax=b 형태의 방정식을 푸는 일종의 도구이며, 역행렬 개념을 포함합니다 ​ 1. 크래머 공식 (Cramer's Rule) 크래머, 크레이머, 크라메르 등으로 불리는 이 공식은 많은 공대생들의 모근을 말려 죽이고 있습니다. 공식 자체를 이해하는 건 어렵지 않은데 수많은 행렬식 계산을 요구해 골머리를 앓게 하는 몹쓸 녀석으로 간주되곤 합니다 ​ 크래머 공식은 n x n 행렬 A의 i 번째 열을 n x 1 열벡터 b로 치환한 Ai(b)를 정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합니다 ​ ​ For any n x n matrix A and any b in R^n, let Ai(b) be the matrix obtain from A by replacing column i by the vector ..

[선형대수학] 특성방정식, 고윳값과 고유벡터 구하기

#선형대수학 1. 특성방정식 (Characteristic Equation) ​ 특성다항식(Characteristic Polynomial)이라고도 하는데, 행렬의 고윳값을 구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 ​ ​ 위 식을 특성방정식이라 부르는데, 유도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3 x 3 행렬 A를 봅시다 ​ 고윳값 λ가 존재한다면 다음 등식에서 0이 아닌 해 x가 존재합니다 ​ 이때 우변에 존재하는 고윳값과 항등행렬(Identity matrix)의 곱을 생각해봅시다 ​ 고윳값 λ와 x 사이에 항등행렬을 끼워넣어 계산하면 우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즉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구요 ​ ​ 좌변으로 몰아 정리합니다 ​ 고윳값과 고유벡터의 정의에 의해 위 등식에서 영벡터가 아닌 해(nontrivial soluti..

[선형대수학] 고윳값, 고유벡터, 고유공간 (Eigenvalue, Eigenvector, Eigenspace)

#선형대수학 ​ ​ 1. 고윳값과 고유벡터의 정의 n x n 행렬 A에 대해 위 등식을 만족하는 λ(lambda)와 x를 각각 고윳값(Eigenvector), 고유벡터(Eigenvector)라 합니다 ​ ​ 위와 같은 2 x 2 행렬을 생각해봅시다 ​ 벡터 x1이 (1,2)로 주어질 때 이것이 고유벡터임을 보이는 과정입니다 ​ 행렬 A와 열벡터 x1의 곱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위 계산결과는 벡터 x1의 상수배이므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 따라서 x1은 행렬 A의 고유벡터이며 이 경우 고윳값은 -1입니다 ​ ​ 이번에는 같은 행렬 A에 대해 고윳값이 주어졌을 때 고유벡터를 구하는 예제를 보겠습니다 ​ 행렬 A의 다른 고윳값이 2라고 주어졌습니다 ​ 고유벡터 x2를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그럼 고유벡..

[미분적분학] 다변수함수의 편미분, 연쇄법칙 (Chain Rule)

#미분적분학 ​ ​ 다변수함수의 편미분을 할 때, z=f(x,y)의 간단한(비교적..) 형태면 편도함수를 쉽게 구할 수 있지만 x=x(t) 또는 y=y(u,v)와 같이 z를 구성하는 변수가 또다른 변수로 구성된 경우 연쇄법칙을 적용해야만 올바른 편도함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연쇄법칙의 정의와 간단한 다이어그램을 그려 문제를 쉽게 풀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 1. 다변수함수의 편미분 ​ 다음의 z=f(x,y) 이변수함수에 대해 편도함수의 표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1계 편도함수 ​ 2계 편도함수 ​ fxy, fyx 가 모두 연속이면 아래 두 편도함수는 같습니다 (fxy = fyx , 클레로 정리) ​ ​ 표현은 저렇고, 일변수함수의 미분처럼 슉슉 계산해주면 됩니다 ​ 정의에 대한 편도함수의 계산은 ..

[미금역 맛집] 긴자 료코

#미금역맛집 ​ ​http://naver.me/GIqPKUVt 긴자료코 미금점 : 네이버 방문자리뷰 165 · ★4.45 · 매일 11:00 - 09:00, 브레이크타임 오후3시 ~ 5시 m.place.naver.com ​https://place.map.kakao.com/1036286011 긴자료코 대치점 서울 강남구 삼성로 327 아람빌딩 1층 (대치동 931-21) place.map.kakao.com 미금역 2번출구에서 2~3분 정도 쭉 들어오면 나오는 긴자 료코(다이소 끼고 왼쪽으로 돌면 나오는 골목에 위치) ​ 오전 11시에 오픈하고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브레이크 타임 ​ 오늘은 12시 40분쯤 도착했는데 두 팀정도 앞에 밀려있어서 10? 13분 정도 웨이팅시간을 가졌다 ​ ​ ​ ​ 우리가 시..

섭교수 리스트 2021.11.07

[김해공항 맛집] 김가네 가야밀면

#밀면 ​ http://naver.me/G99sDxFF 김가네가야밀면 : 네이버 방문자리뷰 420 · ★4.49 · 평일 10:30 - 09:00,일요일 휴무, 11월부터,월요일 휴무, 11월부터 m.place.naver.com https://place.map.kakao.com/15477091 김가네가야밀면 부산 강서구 공항앞길 25 (대저2동 2060-5) place.map.kakao.com 근처라기에는 조금 애매한 위치. 걸어서 15분~20분? 정도 된 것 같은데 버스나 경전철을 탔으면 조금 더 편하고 빠르게 도착하지 않았을까 싶다 ​ ​ ​ 국밥이랑 밀면을 판매하는데 가게 이름이 밀면집이기도 하고 애초에 밀면을 먹으러 왔으니 모두 밀면을 주문했다(곱빼기) ​ ​ 곱빼기 양... 진짜 많다 ​ 오른쪽..

섭교수 리스트 2021.11.05

[수학] 대학수학 유용한 사이트 모음 (21.11.04 수정)

요약 ​ >행렬 계산기 >그래픽 계산기(지오지브라) >원서 다운 사이트 >수식 입력기(필기 -> LaTex) >울프람알파(만능 인공지능 도우미) >극값, 극한값 계산기 ​ ​ ​ 1. 행렬 계산기 https://matrixcalc.org/ko/ 행렬 계산기 이 계산기의 도움으로 행렬 행렬식, 계수, 행렬의 거듭 제곱, 행렬의 합과 곱셈을 구하고 역행렬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행렬 요소를 입력하고 버튼을 클릭하십시오. matrixcalc.org 위 사이트에서 수행할 수 있는 행렬계산으로는 -역행렬계산 -AB행렬곱계산 -행렬식(determinant) 계산 -전치(transpose)행렬 계산 -행렬 콜레스키 분해(Cholesky decomposition) 계산 ​ 등이 있다 ​ 사이트에 들어가면 나오는 위 화..

Useful 2021.11.04

[선형대수학] 크래머 공식 (Cramer's Rule)

#선형대수학 ​ 크래머 공식은 Ax=b 형태의 방정식을 푸는 일종의 도구이며, 역행렬 개념을 포함합니다 ​ 1. 크래머 공식 (Cramer's Rule) 크래머, 크레이머, 크라메르 등으로 불리는 이 공식은 많은 공대생들의 모근을 말려 죽이고 있습니다. 공식 자체를 이해하는 건 어렵지 않은데 수많은 행렬식 계산을 요구해 골머리를 앓게 하는 몹쓸 녀석으로 간주되곤 합니다 ​ 크래머 공식은 n x n 행렬 A의 i 번째 열을 n x 1 열벡터 b로 치환한 Ai(b)를 정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합니다 ​ ​ For any n x n matrix A and any b in Rn, let Ai(b) be the matrix obtain from A by replacing column i by the vector b..

[선형대수학] 열공간과 영공간 (Column Space and Null Space)

#선형대수학1. Column Space, Null Space 행렬과 관계된 두 부분공간 Col A와 Nul A를 소개합니다. 한국어로는 열공간과 영공간이라 번역되는 것 같습니다​ Column space of A (이하 Col A)는 행렬 A의 열벡터들을 span한 subspace, Null space of A (이하 Nul A)는 행렬 A에 대해 Ax=0 라는 선형방정식의 해집합입니다​  Column space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행렬 A의 Column space 는 A의 열들의 모든 선형결합이다. 즉Definition of column space of A 또한 m x n 행렬 A의 Column space는 Rm의 부분공간입니다(행의 개수 m을 따라감)​​ 벡터표현으로 Col A를 나타내면 다음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