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함수에 대한 시스템의 방정식이 전형성을 보이기 때문에 간단히 정리한 여러 function들에 관한 내용입니다.
1. Step Function
Unit step function 은 함숫값이 1인 함수고 step function은 함숫값이 임의의 상수 A입니다. system dynamics에서는 대부분 초기상태 t = 0에 가해진 input이기 때문에 t = 0 에서 상수 input을 주는 함수라 생각하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PNIc/btrO9z0YLT1/06chOVCnBvORy1Ft3hRB4K/img.png)
step function의 좌극한과 우극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aBCS/btrPbviwirg/IBNg7K6AW1b9Qy00nJvdp1/img.png)
step function의 라플라스 변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woMox/btrPaIbzYZf/tNaMUjNjeqaSSN29qEI0L0/img.png)
2. Ramp Function
다음과 같은 함수를 Ramp function이라 부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mqz8/btrO31Q8SuW/VBsK7LCv1VoCcAyQgJJle0/img.png)
ramp function의 좌극한과 우극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YJWw/btrO90KyB3m/LHpmNhAik3JbKPmBICDV7k/img.png)
ramp function의 라플라스 변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HawP/btrOQzAMJUy/TnMppyXy3RSEcYuZBpJ4c0/img.png)
3. Sinusoidal Function
"사인파"로 해석되는 Sinusoidal Function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c6X5J/btrPa97zePv/jMPknLZMSNVzZ220vaQPt0/img.png)
sinusoidal function의 좌극한과 우극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0rUa/btrOQztYEho/v4U7njIYUwSFf1xyjJdDu1/img.png)
sinusoidal function의 라플라스 변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6f6r/btrPbak617V/Py6NCRH6l6ToOitLOH1bsK/img.png)
4. Pulse function
Pulse function은 일정 시간동안 상수 인풋을 주는 함수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OzHJ0/btrO9kC4cmz/TcEqItGFK0DWm5Kv3KD6s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nxBvg/btrPaIQcLYx/ZK02bUMOW1RkNYCAQ9FLRk/img.png)
pulse function의 좌극한과 우극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UMHF/btrO9lu9kaM/oz1TaYrOoMWZA19OHTsmjk/img.png)
pulse function의 라플라스 변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5AaLq/btrO9Alh0h7/1e12ZjEehVVDxF0k9wQBU1/img.png)
5. Impulse Function
시스템에 짧은 시간 동안 매우 큰 단위의 인풋이 가해질 때 impulse function으로 간주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PP4Y/btrPaL6PVQH/kv45kzDqoWYxanK0W8O3S1/img.png)
impulse function의 좌극한과 우극한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4PQkM/btrO9C3BvJu/syAzesoDQHrIKewdJnNtPk/img.png)
impulse function의 라플라스 변환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xb7m/btrO9PWOBVL/jwc3GCvyfTIWJu8kTuQGK1/img.png)
아래 지수함수의 극한 공식을 사용해 계산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4rEO/btrO6hsbVj0/KX69NY1YoYGYz3bPGcZbq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CHxiW/btrOQuzuRMy/NFHQa4nAFKmpZkh9QWPwy0/img.png)
'기계공학 > 4대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역학] 라플라스 변환의 초깃값 정리(Initial-value theorem) (0) | 2022.10.24 |
---|---|
[동역학] 라플라스 변환의 좌극한 (lower limit of the Laplace integral), 최종값 정리 (final-value theorem) (0) | 2022.10.23 |
[유체역학] 가속도장 (Acceleration Field) 유도, 물질도함수 (0) | 2022.10.20 |
[열역학] 검사체적에서 에너지 방정식 (3) : 과도유동(transient flow process) (0) | 2022.10.01 |
[열역학] 검사체적에서 에너지 방정식 (2) : 정상상태 유동(steady state flow) (1)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