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속도장 유도
![](https://blog.kakaocdn.net/dn/UBHrV/btrPbbqMiSe/rEcWYXgmvRAENEbdKe1ke0/img.png)
유체는 많은 입자들의 집합체이기 때문에 하나의 입자를 관찰하는 것보다 전체입자에 대한 해석이 더 유용할 때가 많습니다. (특정 입자의 이동을 알아보는 문제의 경우는 반대) 때문에 Field 라는 도구를 이용해 각 점에서의 유체 운동을 편하게 기술할 수 있습니다.
3차원 상에서 전체 입자의 속도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bCFr/btrOQpStfDP/NBzLjjUD2uar4AMZpnK0s0/img.png)
x,y,z가 시간 t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여 유도합니다.
가속도 a는 속도를 시간에 대해 미분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iwTN/btrO9C3Bpjz/PatEExEwi4fJyNoNkjiAsK/img.png)
연쇄법칙(Chain Rule)을 적용하면 같이 네 개의 항으로 전개됩니다. (미분하는 변수인 t와 관계가 있는 다른 변수들을 거쳐간다는 느낌으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YgAPA/btrPbCIyZ1g/g1PEGtRnVHpupIbZkZoQT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zYQ03/btrO78v2oOe/4WJWI1LmIkw7yno5H5Pzyk/img.png)
이상의 미분결과를 통해 가속도를 정리한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3Y4AP/btrO8zMUiIH/WCfVlSc6ElfyVPNFNSSPy1/img.png)
2. 가속도식의 간소화
먼저 속도 V의 x,y,z 방향 성분을 u,v,w 라 한다면 다음과 같이 가속도식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JtSx/btrPa4rUFbv/maWGN66BSwv4mrwCXZStr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4fIQI/btrPbuDTTUu/KbPW6Zfmfro4wV77nt5np1/img.png)
이것을 델 연산자(▽ ; "nabla") 를 사용해 벡터곱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델 연산자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dxqx/btrOQtgfUCd/tk60wp5kf1lkNsvyTAJj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oAgrw/btrOQm9iDtk/xD1sLkEiCw0TGKUKVcOvk0/img.png)
속도 V의 x,y,z방향 성분을 각각 u,v,w라 한다면 가속도식의 2,3,4 번째 항을 하나로 정리할 수가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yqa2/btrPa9Gu2cc/RjsuOY08kkxu7bUsOl8MD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8QiKb/btrPbtSwYsn/1D2CbLSvM37hpKUFNEx2O1/img.png)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속도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MBdL/btrO9kbVWJu/WPIOJO7PGDNmTCtVXSCk71/img.png)
3. 물질도함수
위 마지막 식에서 물질도함수의 정의가 등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Ksru/btrOQCqLeOU/riKdBQkFe59AVVJHrS1Ae1/img.png)
물질도함수(material derivative)
물질도함수는 대문자 D를 사용해 표현합니다.
물질도함수라는 개념은 역학(특히 열, 유체)에서 가속도 뿐 아니라 다양한 방면에서 유용한 해석을 제공합니다.
물질도함수의 첫 번째 항은 시간에 대한 변화율(local derivative)을, 두 번째 항은 유체 유동에 의한 변화율(convective derivative)을 의미합니다.
4. 특정 상황에서의 가속도장
특정 조건 하에서 가속도항은 매우 간단해집니다.
(1) x방향 유동만 고려(1차원 유동)
속도의 x성분인 u만 남으니 두 개의 항만 남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uHUpT/btrPa4rUFDO/qtKAstUZXnIkL5jTllKxI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ZvWAF/btrO4pqHoBz/C6ArBPw3nTN43CMHUtn7B0/img.png)
(2) 정상유동(시간에 의한 속도 변화 X)
속도가 시간이 흘러도 일정하다면 시간에 대한 속도 변화율은 0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OshbL/btrPaLMwU4J/8tbMhiq4Bn6Kk9kvgc7hj1/img.png)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5KZSC/btrO9CJkLmX/ogStLpzsaDktKYNIVNFfX0/img.png)
델 연산자로 표현하면 하나의 항으로 정리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vJ65c/btrPceHAIaA/pZ9r2ZkBXULlWQaelsqKTK/img.png)
'기계공학 > 4대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역학] 라플라스 변환의 좌극한 (lower limit of the Laplace integral), 최종값 정리 (final-value theorem) (0) | 2022.10.23 |
---|---|
[동역학] Step, Ramp, Sinusoidal, Pulse, Impulse Function (0) | 2022.10.21 |
[열역학] 검사체적에서 에너지 방정식 (3) : 과도유동(transient flow process) (0) | 2022.10.01 |
[열역학] 검사체적에서 에너지 방정식 (2) : 정상상태 유동(steady state flow) (1) | 2022.09.30 |
[열역학] 검사체적에서 에너지 방정식 (1) : 기본 식 설명 (0)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