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18

[유체역학] 가속도장 (Acceleration Field) 유도, 물질도함수

1. 가속도장 유도 ​ ​ 유체는 많은 입자들의 집합체이기 때문에 하나의 입자를 관찰하는 것보다 전체입자에 대한 해석이 더 유용할 때가 많습니다. (특정 입자의 이동을 알아보는 문제의 경우는 반대) 때문에 Field 라는 도구를 이용해 각 점에서의 유체 운동을 편하게 기술할 수 있습니다. ​ 3차원 상에서 전체 입자의 속도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x,y,z가 시간 t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여 유도합니다. ​ 가속도 a는 속도를 시간에 대해 미분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습니다. ​ 연쇄법칙(Chain Rule)을 적용하면 같이 네 개의 항으로 전개됩니다. (미분하는 변수인 t와 관계가 있는 다른 변수들을 거쳐간다는 느낌으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 ​ ​ ​ ​ 이상의 미분결과를 통해 가속도를 정리한 ..

[머신러닝] 신호, 파이프라인

신호 머신러닝 시스템에 주입하는 정보를 클로드 섀넌(Claude Shannon)의 정보 이론을 따라 종종 신호라고 부릅니다. 신호를 잡음으로 나눈 신호/잡음 비율이 높을 수록 좋습니다.(정보 대비 노이즈가 적음) ​ 파이프라인 데이터 처리 컴포넌트들이 연속되어 있는 것을 데이터 파이프라인 이라고 합니다. 머신러닝 시스템은 데이터를 조작하고 변환할 일이 많아 파이프라인을 사용하는 일이 매우 흔합니다. ​ 보통 컴포넌트들이 비동기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각 컴포넌트들이 독립적으로 역할을 수행) 각 팀이 각자의 컴포넌트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한 컴포넌트가 다운되더라도 하위 컴포넌트는 문제가 생긴 컴포넌트의 마지막 출력을 사용해 (적어도 한동안은) 평상시와 같이 계속 동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스템을 매우..

개발/머신러닝 2022.10.13

[머신러닝] 공개 데이터셋 저장소

​ 머신러닝을 배울 때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데이터셋이 아닌 실제 데이터로 실험해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다음은 여러 분야에 걸쳐 공개된 데이터셋을 구하기 좋은 곳입니다. ​ ​ ​ 유명한 공개 데이터 저장소 -UC 얼바인(Irvine) 머신러닝 저장소 (http://archive.ics.uci.edu/ml/index.php) -캐글(Kaggle) 데이터셋 (https://www.kaggle.com/datasets) -아마존 AWS 데이터셋(https://registry.opendata.aws/) ​ ​ 메타 포털(공개 데이터 저장소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https://dataportals.org/ -https://opendatamonitor.eu/frontend/web/index.php?r=dash..

개발/머신러닝 2022.10.12

[머신러닝] 머신러닝이란?

​http://www.yes24.com/Product/Goods/89959711 핸즈온 머신러닝 - YES24 머신러닝 전문가로 이끄는 최고의 실전 지침서 텐서플로 2.0을 반영한 풀컬러 개정판 『핸즈온 머신러닝』은 지능형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머신러닝, 딥러닝 분야 핵심 개념과 www.yes24.com 핸즈온 머신러닝의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1. 머신러닝의 정의 머신러닝은 데이터로부터 학습하도록 컴퓨터를 프로그래밍하는 과학 (또는 예술) 입니다. ​ 보다 일반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 [머신러닝은] 명시적인 프로그래밍 없이 컴퓨터가 학습하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연구 분야다. "Arthur Samuel, 1959" ​ 보다 공학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어떤 작업 T에..

개발/머신러닝 2022.10.07

[열역학] 검사체적에서 에너지 방정식 (3) : 과도유동(transient flow process)

#열역학 ​ ​ ​ 위 두 식의 좌변이 0인 경우를 정상상태(steady state; 시간에 따른 물리량 변화 X) 유동이라 소개하였습니다. ​ 0이 아닌 경우를 Transient flow라 부르며 한국어로는 과도유동, 과도과정, 비정상상태 유동 이라 불리는 것 같습니다. ​ ​ 1. Transient Flow Process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세 가지 가정이 필요합니다. ​ 1. The control volume remains constant relative to the coordinate frame. 2. The state of the mass within the control volume may change with time, but at any instant of time the state is..

[열역학] 검사체적에서 에너지 방정식 (2) : 정상상태 유동(steady state flow)

#열역학 ​ 정상상태 유동은 정의된 시스템의 속성이 변하지 않는 유동을 의미합니다. 지난 시간에 알아본 연속 방정식과 에너지 방정식에서 좌변이 0임을 사용하면 됩니다. ​ ​ i는 in의, e는 exit의 약자입니다. ​ ​ ​ 1. steady state flow steady state flow는 시간에 따른 검사체적 전체의 질량과 에너지의 변화가 없는 유동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열역학 문제를 풀 때 에너지 입출입이 일정한 경우를 상정합니다. 계 내부의 시간당 에너지가 계속 증가한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밀폐된 용기에 유체를 채울 때 전과 후의 온도를 계산하는 문제 등 특수한 경우입니다. 검사체적에 들어오는 단위시간당 질량이 나가는 단위시간당 질량이 같아야 한다는 "연속방정식"과 검사체적에 들어오는 단위시..

[HTML] HTML 데이터 입력받기 / 버튼, 체크박스 생성하기 : <form>, <input>

#HTML ​ ​ 데이터 입력받기 HTML에서 데이터를 입력받고 전송하기 위해서는 태그를 사용한다 ​ 표시할 내용들(버튼, 체크박스 등등) ​ 위 형식을 따라 사용하며 action 속성에는 입력 데이터를 받아서 처리할 페이지의 URL을 넣으면 되고 method 속성에는 post, get, dialog 세 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 ​ ​ ​ post 방식은 데이터를 별도로 첨부하여 전달하는 방식이며 보안성 및 활용성이 뛰어나다. get 방식은 주로 중요도가 낮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dialog는 양식이 태그 내부에 위치한 경우 제출하는 동시에 form 대화상자를 닫는 속성이다. ​ ​ ​ ​ ​ 다양한 데이터 입력 형식 : 태그 사용하기 ​ form 내부에 태그를 사용하여 다양한 데이터 입력..

개발/웹개발 2022.09.06

[CSS] 선택자 응용 20가지 : 여러 가지 요소, 요소 내부의 요소 등등 . .

#CSS ​ ​ ※ Ctrl+F로 키워드 검색이 가능합니다. ​ ​ ​ 선택자 응용 ​ ☆ 특정 요소 내부의 요소 : 상위요소 하위요소{property:value}. 단순히 한 칸 띄워서 작성한다. ​ ​ ★ 특정 id를 가지는 특정한 요소 : 요소#id{property:value}. 위 문서에서 단순히 #fancy로 를 선택할 수 있지만 #fancy를 가지는 다른 요소가 있는 경우 만을 선택하고 싶다면 plate#fancy를 사용한다. ​ ​ ☆ 특정 class를 가지는 특정한 요소 : 요소.id{property:value}. 특정 id를 가지는 경우와 유사. ​ ​ ★ 특정 요소 내부에 있으며, 특정 class를 지니는 경우 : 상위요소 하위요소.class{property:value}. bento 내..

개발/웹개발 2022.09.05

[CSS] 선택자란?, 선택자가 적용되는 우선순위(Selectors)

#CSS ​ 선택자는 HTML 내에서 어떤 Tag들에 스타일을 적용할 지 고르는 데 사용되며 그러한 규칙을 규정하는 '문법'이다. 선택자의 종류에는 크게 6가지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 ​ 1. 모든 Tag에 적용하고자 할 때는 *를 사용 ​ 2. 특정 Tag에 적용하고자 할 때는 Tag이름을 사용 (h1태그에 적용하려면 h1{스타일} 형식을 사용) ​ 3. 특정 ID에 적용하고자 할 때는 #id를 사용 ​ 4. 특정 Class에 적용하고자 할 때는 .class를 사용 ​ 5. 특정 상태일 때 스타일을 적용하려면 tag:state{스타일} 형식을 사용 ​ 6. 특정 속성값(attribute)을 가지는 요소들에 적용하려면 tag[attribute=""]{스타일} 형식을 사용 ​ ​ CSS 문서는 선택자를 사..

개발/웹개발 2022.09.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