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Introduction
보의 처짐량은 v를 이용해 나타냅니다. v를 x의 함수라 할 때 미분방정식을 푸는 목적은 "처짐 곡선을 구하는 것"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Ta1a3/btrUyilztPx/fnx18AdVePuUfTMj7QDkW0/img.png)
처짐의 부호는 상향(U자형 커브)이 + 입니다. 즉 +y방향이 양입니다.
2. Derivation
![](https://blog.kakaocdn.net/dn/bCA33L/btrUupy8xvP/97qZxpQUnvlGmYUBgewS9K/img.png)
mechanics of material, cengage
왼쪽 그림에서 미소 길이 ds 가 곡률반지름(radius of curvature) ρ 와 미소각변위 dθ 의 곱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k46y7/btrUyCxnGqX/TnfkMrC0mIKSWikNAsTmhK/img.png)
곡률 k가 곡률반지름의 역수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n72Tv/btrUvXWLpnu/papaBlJKG7MiqXXbIJYGj1/img.png)
오른쪽 그림에서 처짐곡선의 기울이 dv/dx 는 tanθ 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2mLtA/btrUyBebpVY/XAa9VYjoBCpKBRCKXZrKC1/img.png)
이때 θ의 각이 매우 작다고 가정하면 두 가지 근사를 가정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G4x1/btrUuvMLLMH/LuLGjxhvOIlRkVIqeg7bjK/img.png)
(4) 식을 (3)에 대입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o9eD8/btrUuvzlmkA/ofY4NxT9jERGnY3XiOfjFK/img.png)
(5) 식을 (2)에 대입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hUnw/btrUxdSj09O/wYtk0uexC6OvH1xSNmD421/img.png)
이때 굽힘모멘트 M과 곡률 k의 관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m4zZ/btrUurRpjtd/HGvyZwpxdwBueSjJEKtYm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njBNm/btrUxpkKxvy/Ft5EUU7LC3ek31MzhpMKO0/img.png)
(6) 식의 양변을 x에 대해 미분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kprf/btrUws9QNXf/kfPvTrFKJmBJcyTm4KIxI1/img.png)
(9)와 (10)에서 dθ/dx 을 소거하면 처짐곡선의 미분방정식을 얻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cizYU/btrUzloOSkO/HUQ4dO18Sz0k8tLJgWJSNk/img.png)
(11)을 통상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OYu5/btrUuw51WWT/AZKuoch4kTzagh2D3v5psk/img.png)
이 식에 굽힘모멘트, 전단력, 분포하중과의 관계식을 적용하여 3,4차 미분방정식도 유도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mLJso/btrUuAHBIsY/96prkXTjn8IFgeAcJU0oG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rqbur/btrUwtnn1jK/NUw6as24LpHs2hD1DEJFL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6IZCQ/btrUuPq9TF4/GSydjNd7pJeNVU0YaghBz0/img.png)
아래와 같이 세 종류의 처짐 곡선의 미분방정식을 유도하지만 통상 굽힘모멘트를 통한 2계 미분방정식을 사용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NL90/btrUDg8mSox/h2ItEu4WVa5f4INozROAM1/img.png)
다음에는 처짐 예제와 모멘트 - 면적법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반응형
'기계공학 > 4대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역학] 용기 내 압력에 의한 응력 (0) | 2023.02.24 |
---|---|
[재료과학] 보의 처짐 예제 (1) | 2023.02.24 |
[재료역학] 보의 순수 굽힘 - 공식 편 (2) | 2022.12.31 |
[재료역학] 보의 순수 굽힘 - 개념 편 (2) | 2022.12.26 |
[재료역학] 전단력 선도, 굽힘모멘트 선도 예제 (SFD, BMD) (0) |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