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ML9tn/btrwoopkGmQ/NPO3fpqroNnx6V2CBaxWV1/img.png)
zeros(n, n)를 입력하면 모든 entry가 zero이고 크기가 n x n 인 배열이 생성된다.
![](https://blog.kakaocdn.net/dn/N2EsI/btrwm96Jtvu/WE9LpKUbbEgjNb1tyNiKXk/img.png)
2. ones
ones(r, c) 를 입력하면 모든 entry가 1이고 크기가 r x c 인 배열이 생성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tKxtL/btrwonqpsIn/ihtKkzzJBk6l0Y4bgHsg4K/img.png)
ones(n) 를 입력하면 모든 entry가 1이고 크기가 n x n 인 배열이 생성된다.
![](https://blog.kakaocdn.net/dn/dD49Q6/btrwsJTkUoF/DiSIOi4ycmOT08EbjuusG1/img.png)
3. Colon Operator (:)
Colon operator는 파이썬의 슬라이싱과 유사한 기능이다.
아래 그림은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고 colon operator를 사용한 예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nbJNi/btrwpi9H8Dm/TkI0Cf0vKCgT1HpzXQdJG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MC1It/btrwqMwgpHN/z58zf1JUyykqeACIPEuiD1/img.png)
:가 범위에 해당하는 건데 : 좌우가 비어있으면 전체라고 생각하면 편할 듯. 엑셀의 끝 테두리를 눌렀을 때와 같은 기능이랄까나
![](https://blog.kakaocdn.net/dn/bab1QK/btrwpsZhrNM/9ZChovdgjKBklIkHifU17k/img.png)
매트랩에서는 A(:,4)를 입력한 것과 같다.
또한 column vector나 row vector의 경우 굳이 괄호 안에 ,1 또는 1, 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oFyCn/btrwmq117eW/wowMzbsl7ANnHcxU1xNpM1/img.png)
colon operator는 그 자체로 array를 생성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a:d:l 을 입력하면 a가 시작점, 간격이 d이며 l 까지의 entry를 갖는(l : limit) row vector가 생성된다. (d는 생략 가능)
![](https://blog.kakaocdn.net/dn/EyUQn/btrwnQl5rMv/hToYa96Knkqxtukk3MZwZ1/img.png)
2:7 을 입력하면(d를 생략한 것) 기본간격인 1이 사용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dNGzB/btrwonYghJk/GIKLY9qQ35Ni1Y4Ac22NQ0/img.png)
4. linspace
linspace는 linear space의 줄임말이며 선형적으로 변하는 row vector를 생성하는 명령어다.
lin(a,b,d) 를 입력하면 a가 시작점, b가 끝점이 되며 d 개로 분할된 (d개의 entry를 갖는) row vector가 출력된다.
![](https://blog.kakaocdn.net/dn/84XJA/btrwrGP5r6c/4RqiD63cMFA7OMH95RsFxK/img.png)
5. logpsace
logspace는 log (상용로그) 단위를 사용한다는 것 말고는 linspace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입력값과 출력값의 단위를 혼동하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4gquB/btrwqNBVCOp/hoPpb2okrJWXfrSuO3K4uK/img.png)
또한 위와 같이 출력되었을 경우 행렬 앞에 상수가 곱해진 것을 표현한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5Mzo5/btrwrHVMe3V/KDkljfiXTy9kiT8L3MtbNK/img.png)
'개발 > 매트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트랩] 그래프 그리기 : plot 함수, clear, close, clc (0) | 2022.03.29 |
---|---|
[매트랩] Built-in functions, 소수점 처리, 나머지 (0) | 2022.03.28 |
[매트랩] 사칙연산, Array Entry (0) | 2022.03.26 |
[매트랩] 복소수, format, who, whos (0) | 2022.03.25 |
[매트랩] 변수 지정, 배열 (0) | 2022.03.24 |